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끝
- 바빠지나?
- 파란 장미
- 자 이제 시작이야
- 아직도 실험 중
- multi-oom
- 핀토스 프로젝트 3
- 노가다
- 글리치
- 핀토스 프로젝트
- Project 1
- 마일섬
- 핀토스 프로젝트 2
- PINTOS
- 황금 장미
- alarm clock
- 글루민
- 일지 시작한 지 얼마나 됐다고
- 셋업
- 내일부터
- 제발흰박
- 핀토스 프로젝트 4
- 가테
- 핀토스 프로젝트 1
- botw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28)
거북이의 쉼터
음... 이번 매뉴얼은 뭔가 짧다. To implement syscalls, you need to provide ways to read and write data in user virtual address space. You don't need this ability when getting the arguments. However, when you read the data from the pointer provided as the system call's argument, you should proxied through this functionallity. This can be a bit tricky: what if the user provides an invalid pointer, a pointer i..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여행 + 게임 + 치료 3연타로 블로그를 안한지 어언 2달째 드디어 다시 글을 쓴다... 한 번 안 쓰기 시작하니 엄청 안쓰게 된다. 어쨌든 진행 상황이 2번째 프로젝트에서 멈춰 있었고, 내가 어디까지 진행을 했는지도 모르겠어서 그냥 가장 마지막에 git에 push했던 상황부터 다시 시작하려고 한다. 이제 곧 22년 봄학기가 시작된다. 그 전까지는 프로젝트 2까지는 끝내야 하는데..

오랜만에 일지를 작성한다. 아직도 교배 실험이 진행 중이다.... 정말 재수가 없나? 그래도 고무적인 것은 드디어 거의 마지막 단계인 오렌지색 장미에 도달했다는 점이다. 문제는 이 오렌지색 장미와 교배해야 하는 교배종 흰 장미가 정말 정말 정말 안 나온다는 것이다. 사진 우측에 나와있는 교배터에서 구해야 하는 흰 장미(유전자형 0220)인데 최근 일주일 동안에는 연속으로 노란 장미만 구해졌다. 노란 장미가 나올 확률이 0.75라서 그럴 수도 있지 했는데, 돌이켜보니 그렇게 15송이 정도만 노란색으로 나온 것이 문제다. 15송이 전부 노란 장미일 확률이 0.75^15 = 0.013, 즉 1% 정도인데... 인정한다. 정말 지지리도 운이 없다. 오렌지색 장미 교배터는 순조롭다.. 0220 흰 장미만 나온다면..